2025/07/19 3

지체장애인을 위한 뇌파·시선 추적 입력 앱 후기

지체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조작하는 일은 단순한 클릭조차도 큰 도전이 될 수 있다. 특히 팔이나 손의 움직임이 제한적인 중증 지체장애인의 경우, 일상적인 문자 입력, 검색, SNS 사용 등 기본적인 디지털 접근조차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뇌파와 시선 추적을 기반으로 한 입력 앱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이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며, 실제로 장애인의 삶에 깊은 변화를 주고 있다.하지만 일반 사용자에겐 생소하고, 사용 방법도 복잡해 보이는 이 앱들이 실제로 지체장애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는 아직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그래서 필자는 직접 몇 가지 뇌파 및 시선 추적 앱을 체험해 보고, 사용 편의성과 정확도, 실제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택시 호출 앱의 접근성 비교

시각장애인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겪는 불편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많다. 특히 지하철이나 버스에 비해 접근성이 낮은 택시 이용은 더 큰 장벽이 될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모바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택시 호출 앱이 등장했고, 그중 일부는 장애인 접근성을 고려해 기능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실제로 시각장애인이 택시를 호출할 수 있을 만큼 앱이 직관적이고 친절한지는 별개의 문제다. 그래서 필자는 현재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주요 택시 호출 앱 3종을 대상으로 시각장애인의 입장에서 실제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을 비교해보았다.이번 글에서는 각 앱의 기능적 차이뿐 아니라 실제 사용 후기와 피드백을 중심으로 작성하였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 편의성 개선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폐 인식 앱 정확도 실험 후기

많은 시각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화폐 구분이다. 한국 지폐는 색상과 크기가 약간씩 다르지만, 시각정보에 의존하지 않고는 구분이 쉽지 않다. 특히 외출 중 급하게 지불해야 할 상황에서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화폐를 구분하는 건 상당한 도전이 된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폐 인식 앱이 등장했지만, 실제 사용 환경에서 얼마나 정확한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편이다. 필자는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시각장애인 화폐 인식 앱 3가지를 직접 테스트해보고 정확도와 사용 편의성을 비교해보았다. 이 글은 그 실험 후기를 바탕으로 작성된 생생한 기록이며, 시각장애인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 보호자, 사회복지사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