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2

장애인을 위한 문화·여가 앱 서비스 정리

장애인을 위한 문화·여가 활동은 단순한 취미생활의 차원을 넘어, 삶의 질과 자존감, 사회적 소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물리적, 정보적 장벽으로 인해 장애인이 문화 콘텐츠를 향유하기란 여전히 쉽지 않다. 극장, 공연장, 박물관, 스포츠 경기장 등 대부분의 문화공간은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앱이나 웹 기반의 서비스 역시 접근성 기능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다행히 최근 몇 년 사이, 장애인을 위한 문화·여가 앱 서비스가 점차 다양화되고 전문화되면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장애인 사용자들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고, 접근성이 보장된 문화·여가 관련 앱들을 유형별로 정리하고자 한다. 단순 소개를 넘어서, 장애 유형별 특화 기능과 실제 활용도,..

장애인용 모바일 앱 개발 시 빠지기 쉬운 함정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앱은 단순한 ‘기술 제품’이 아니라, 장애인의 삶과 직접 연결된 필수 생활 도구다. 따라서 개발자는 기능 중심의 개발을 넘어서, 사용자의 실제 생활 환경과 제약 조건을 반영한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많은 앱들이 장애인을 위한 앱을 표방하면서도, 정작 사용자의 입장에서 전혀 쓸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단순한 설계 실수 이상의 문제다.이 글에서는 장애인용 모바일 앱을 개발할 때 자주 빠지는 실수와 구조적인 함정들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고, 개발자와 기획자가 어떤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지를 소개하려고 한다. 기술이 아닌 사람 중심의 시각으로 장애인 앱 개발을 접근해야만, 진정한 의미의 ‘접근 가능한 기술’이 만들어질 수 있다. 접근성 디자인을 ‘디자인 ..